월급날은 직장인들에게 가장 설레는 날이죠. 그 잠깐이지만 통장에 숫자가 확 하고 늘어나는 마법 같은 경험..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이 공감하는 것처럼 월급 들어오면 바로 사라지기 때문에 그 기쁨이 오래가지는 않습니다. 오늘은 월급 들어오면 꼭 쓰게 되는 5가지 대표적인 지출 목록과 현명하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혹시 ‘나만 이런가?’ 싶었던 소비 패턴이 있다면 이 글을 통해 함께 공감하고 더 나은 방법을 찾아보시길 바랄게요.
월급 들어오면 꼭 쓰게 되는 지출 TOP 5
월급날이 되면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빠져나가는 돈들이 있죠. 다들 비슷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 가장 흔한 5가지 지출을 같이 살펴볼게요.
배달앱과 커피
월급날만 되면 왜이렇게 보상을 받고 싶어 하는지.. 그때 만큼은 배달 음식이나 커피 한 잔은 무조건 시키게 됩니다.
특히 쿠팡이츠, 배민, 요기요 같은 배달앱으로 맛있는 음식을 주문하거나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에서 커피를 마시며 한 달 동안 고생했다고 스스로를 위로하고는 하는데요. 월급날이면 카드 값이 리셋된다는 생각으로 평소보다 비싼 메뉴를 주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지난달에는 이번 달 고생했으니까라는 핑계로 5만원짜리 스테이크를 배달 시켜 먹었는데요. 그리고 다음날 밥, 김치 패턴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런 소비 패턴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달앱 할인 쿠폰이나 카드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 월급날 플렉스를 위한 특별 예산을 미리 책정해두면 과소비도 막을 수 있습니다.
저는 그래서 한 달에 딱 5만원만 배달앱과 커피 값으로 정하고 있어서 첫 날 이후로는 엄두도 못내고 있습니다.
관련글
정기구독 자동결제
월급날은 각종 구독료가 빠져나가는 날이기도 하는데요. 넷플릭스, 유튜브, 티빙, 지니, 멜론 등 생각보다 많은 서비스들이 자동으로 결제되고 있더라고요.
그런데 문제는!! 이 모든 걸 기억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자동결제는 편리하지만 얼마나 많은 서비스를 구독 중인지 까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달 왜이렇게 많이 썼지?하고 내역을 확인해보면 온갖 구독료가 결제된 경험 다들 있으실 거에요.
저는 넷플릭스하고 디즈니플러스만 결제하는 줄 알았는데 티빙도 하고 지니도 하고 유튜브도 하고 그래서 한달에 한 3~4만원정도가 자동결제가 되고 있었습니다. 어떤 서비스는 몇 달동안 안 쓰고 돈만 나간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런 숨은 지출을 관리하려면 3개월에 한 번씩 구독 서비스 점검일을 정해서 실제로 사용하는 서비스만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공유 플랜을 활용하면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답니다. 보고 싶은 드라마가 있다면 끝나고 나서 구독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구독 서비스 | 월 평균 비용 | 연간 비용 |
OTT 2개 | 22,500원 | 270,000원 |
음악 스트리밍 | 5,700원 | 68,400원 |
유튜브 프리미엄 | 14,900원 | 178,800원 |
합계 | 43,100원 | 517,200원 |
놀라셨나요? 저도 놀랐습니다. 매달 4만원씩 쓰는 것 같은데 이게 모아 보니까 1년이면 51만원이나 되는 금액인데요. 재미있는 건 이 금액으로 괜찮은 여행도 다녀올 수 있다는 거죠 ㅎㅎ
카드값 자동결제
지난달 결제된 금액들이 한꺼번에 몰려오는 순간이 바로 카드값 결제일입니다. 신용카드 대금은 월급 들어오면 꼭 쓰게 되는 지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이건 소비가 아니라 정산이다”라고 생각하지만 결국 지난달의 과소비가 이번 달 통장을 텅텅 비우는 주범이 되고는 합니다. 특히 연말이나 명절처럼 지출이 많은 시기 이후에는 카드값 때문에 2~3달 내내 허리띠를 졸라 매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올해 5월에는 또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이런 행사들이 많기 때문에 지금부터 대비를 하지 않으면 카드값 때문에 12월 내내 아무것도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악순환을 막으려면 카드 사용 알림을 설정해서 실시간으로 지출을 확인하고 주간 또는 월간 카드 사용 한도를 정해두는 게 좋습니다. 꼭 필요한 큰 지출은 일시불 대신 무이자 할부를 활용하면 현금 흐름 관리에 도움이 되는데요. 추가로 카드값 먼저 내고 쓰는 습관을 들이면 텅장 되는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마트/편의점 생활비
월급날에는 마트부터 가고 싶은 심정 이해가 되시나요? 식료품과 생필품 구매는 월급 들어오면 꼭 쓰는 지출 중 하나입니다.
문제는 장 보러 가면 무조건 20만원 이상은 결제를 한다는 점.. 이상하게 쿠팡으로 주문하면 진짜 만원도 아끼게 되는데 대형마트만 가면 나도 모르게 카드 가득 채워져서 결제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런 충동구매를 줄이려면 장보기 전에 냉장고를 확인하고 장보기 목록을 꼭 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배고플 때 장을 보면 필요 이상으로 구매하게 되니 꼭 식사 후에 장을 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마트 할인카드를 이용하면 추가적인 혜택도 받을 수 있으니 챙겨두시길 바랄게요.
부모님 용돈 또는 통장 자동이체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는 분들도 있고 미래를 위해 저축 통장에 저축을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런 지출은 기분 좋은 지출인데요.
개인적으로 이런 지출은 돈을 쓰는 개념보다는 투자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모님을 위한 효도도 그렇고 미래의 나를 위한 준비도 모두 소중한 투자이니까요. 용돈과 저축은 월급 즉시 자동이체로 설정하면 관리가 편하고 최소 월급의 10~20%는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 사실 여유자금이 생기면 대출금 상환을 통해 이자 부담을 줄이는 것도 현명한 방법입니다.
관련글
월급 관리와 효율적인 지출 만들기
월급 들어오면 꼭 쓰게 되는 지출이 많지만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면 조금이나마 절약을 할 수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팁들을 활용해보세요.
예산 분배
효율적인 예산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분배 방식을 활용해보세요.
카테고리 | 권장 비율 | 월 300만원 기준 예시 |
필수 생활비 (주거, 식비, 교통 등) | 50% | 150만원 |
저축 및 투자 | 20-30% | 60-90만원 |
부채 상환 | 10-20% | 30-60만원 |
여가 및 자기계발 | 10-20% | 30-60만원 |
이 비율이 무조건 맞는 건 아니고 추가적인 주거비가 높은 지역에 살거나 대출 상환이 많다면 그에 맞게 조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건 자신의 상황에 맞는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저축 습관
월급 들어오면 꼭 쓰게 되는 지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저축입니다.
제가 실천하는 방법은 ’10분 저축 계획’이에요. 월급이 입금되면 10분 안에 각 계좌별로 저축금액을 이체하는 건데요.물론 급여가 입금되자마자 저축 계좌로 자동이체 되도록 설정하면 더 편하지요. 이렇게 하면 남은 금액으로 한 달을 계획할 수 있어 과소비를 방지하고 저축도 하고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목적별로 저축 계좌를 분리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요. 예를 들어 긴급자금, 여행자금, 주택자금, 노후자금, 생일자금 등 분리하면 관리가 쉬워지고 목적에 맞는 금액을 쓸 수가 있게 됩니다. 금액이 적더라도 꾸준히 저축하는 습관이 제일 중요하며 처음에는 어색해도 습관이 되면 자연스럽게 실천하게 됩니다.
현명한 소비 습관 기르기
월급 들어오면 진짜 옷도 사고 싶고 먹고 싶고 여러 가지 사고 싶은 것들이 잔뜩 있는데요. 이런 지출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큰 금액의 지출은 24시간 후에 다시 결정하는 룰을 적용해보세요. 막상 지금은 사고 싶어도 시간이 지나면 굳이? 이런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정말 필요한 물건인지 생각할 시간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할 때는 장바구니에 담아두고 하루 지난 후에 구매 여부를 결정하면 불필요한 소비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외식비, 의류비 등 항목별로 현금 봉투나 통장을 나누어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각 봉투나 통장에 있는 금액이 소비되면 더 이상 해당 항목에 지출하지 않는 원칙을 세우는 것인데요.
처음에는 가계부 쓰는 습관도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가계부 앱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분류도 해주고 분석도 해줘서 정말 편리한데요. 제가 쓰는 앱은 월말에 옷을 30만원치 샀다는 것을 알려줘서 다음달에는 옷을 하나도 안쓴 경험도 있습니다.
결론
월급 들어오면 꼭 쓰게 되는 지출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배달앱과 커피, 정기구독 서비스, 카드값 정산, 생활비 충전, 그리고 부모님 용돈과 저축까지, 이러한 패턴은 대부분의 직장인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인데요.
중요한 건 이러한 지출을 얼마나 현명하게 관리하느냐에 있습니다. 자신의 재정 상황에 맞는 예산 계획을 세우고 현명하게 소비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 이 부분을 잘 확인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