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ATM 기기를 자주 이용한다면 수수료는 생각보다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매번 현금을 인출하거나 입금할 때마다 수수료가 발생한다면 한 달 기준 상당한 금액이 나갈 수 있죠. 오늘은 토스뱅크 ATM 수수료 혜택이 변경이 된다고 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의 무제한 무료 혜택으로 제공되었던 토스뱅크 ATM 수수료 정책이 어떻게 변경이 되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토스뱅크 ATM 수수료 변경 및 시행 일정
토스뱅크는 출범 이후 ATM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무료로 제공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ATM 수수료 정책이 변경이 되었는데요. 그럼 시행일과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시행일자 : 2025년 8월 1일(금)부터
- 적용대상 : 토스뱅크 체크카드 및 제휴 신용카드 보유 고객 (기존 고객, 신규 고객 모두 해당)
- 변경내용 : 월 30회 초과 이용 시 국내 ATM 수수료 발생
변경 전 (2025년 7월 31일까지)
구분 | 은행기기 | 제휴 VAN사 기기 |
---|---|---|
출금 | 면제 | 면제 |
입금 | 면제 | 면제 |
이체(당행/타행) | 면제 | 면제 |
변경 후 (2025년 8월 1일부터), 월 30회 초과 이용 시
구분 | 은행기기 | 제휴 VAN사 기기 |
---|---|---|
출금 | 500원 | 1,200원 |
입금 | 은행별 상이 | 1,500원 |
당행이체 / 타행이체 | 500원 | 1,000원 |
매월 1일~말일 누적 30회까지 무료이고 31회차부터는 위 표와 같이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때 은행기기는 시중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ATM을 의미하고 제휴 VAN사 기기는 편의점(세븐일레븐, CU, GS25 등) 및 기타 제휴 ATM을 의미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 변경이 국내 ATM 거래에만 해당되며 모바일 앱(토스뱅크, 토스)에서의 송금, 이체는 계속해서 무료로 유지가 됩니다.
토스뱅크 관련 궁금한 내용들을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 [토스뱅크 오프라인 상담 가능한 곳을 찾고 있다면 알아보기]
-> [토스뱅크 마이너스통장 개설 확인하기]
-> [토스뱅크 ATM 입금 및 현금 출금 방법 알아보기]
토스뱅크 ATM 수수료 절약 꿀팁
토스뱅크 ATM 수수료 정책이 변경된다고 해도 몇 가지 방법을 활용하면 수수료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 송금/이체 적극 활용
토스뱅크 앱이나 토스 앱을 통한 송금 및 이체는 여전히 무제한 무료입니다. ATM에서 계좌이체를 하기보다는 모바일 앱을 통해 이체하는 습관을 들이면 수수료를 면제할 수가 있습니다.
ATM 이용 횟수 관리
월 30회 이내로 출금, 입금, 이체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번 소액을 여러 번 출금하기보다는 필요한 금액을 한 번에 인출하는 식으로 횟수를 줄여야겠죠.
또한 토스뱅크 앱에서 ATM 이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을텐데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무료 횟수를 얼마나 사용했는지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은행기기 우선 이용
앞서 살펴본 것처럼, 은행 ATM이 편의점 ATM보다 수수료가 훨씬 저렴합니다. 30회 무료 혜택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가급적 은행 ATM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은행 ATM의 위치는 토스뱅크 앱이나 각 은행 앱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니, 자주 가는 경로에 있는 은행 ATM 위치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ATM 출금 대신 체크카드 결제 활용
현금보다는 체크카드 결제를 활용하는 것도 ATM 이용 횟수를 줄일 수가 있습니다. 토스뱅크 체크카드는 결제 수수료가 없고 다양한 혜택도 제공하기 때문에 이제는 현금 대신 카드 결제를 활용해보세요.
마무리
지금까지 2025년 8월 1일부터 변경되는 토스뱅크 ATM 수수료 정책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기존의 무제한 무료 혜택이 월 30회까지만 무료로 제한되고 그 이상 사용 시에는 이제 수수료가 붙기 때문에 횟수를 잘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이번 변경으로 인해 ATM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은 일부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큰 영향은 없을 것 같네요.